공감과유감

요즘 나도 안티하고 싶다

양치는선비 2009. 9. 22. 01:37

 

송병주

 

1. 순기능과 역기능

교회는
세상을 향해 소위순기능과 역기능이라는 2가지 기능을 해야한. 순기능은 교회의 존재가 사회와 세상에 유익하다는 것을 말한다. 국가와 민족에 충성하는 그리스도인, 직장에서 거짓되지 않고 성실한 그리스도인이기에 유익하다는 것이다. 세상을 멋진세상, 아름다운 곳으로 만드는 일을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반면 역기능은 불의한 사회적 악과 타락에 맞서 구별되게 살아서 세상을 바로 잡고자 갈등하고 대결하는 기능을 말한다. 정권과 갈등하고, 권력의 핵심들을 향해 “회칠한 무덤, 독사의 자식”이라는 서슬이 퍼런 표현을 쏟아서 “반체제 인사”로 분류되는 위험한 기능을 말한다. 교회는 이 2가지 기능을 다가진 존재로 “호미와 곡쾡이” 같은 기능뿐 아니라 “창과 칼”의 기능을 함께 가진 존재이다. 역사적으로 기독교회가 순기능이 가지고 있음을 사회적으로 시위해왔고 설득해왔다. 하지만, 사실 그 시작에서부터 태생적으로 가진 역기능으로 인해 죄악된 세상과는 깊은 긴장을 유지해온 것이 사실이다.

 

2. 교회의 역기능과 안티 기독교


이런 역기능은 수많은 안티기독교 세력을 양산했다. 하지만, 그 시대의 안티 기독교는 “기득권 세력”으로서 강력한 논리적 체계와 권력적 언어로 기독교를 공격했다. 예수는 정치권력과 종교권력의 오만과 거짓논리로 가득찬 논리적 함정 사이에서도 민중적 “이야기 언어(story telling)”로 안티 예수의 틈바구니속에서 거룩과 순결의 정로를 걸어왔다. 성도는 고난받는 거룩한 백성으로, 안티기독교는 기득권화된 죄악된 세상으로서 명확하게 구별되었다.


수많은 안티 기독교의 악의에 찬 공격앞에서도 싸우지 않고 십자가의 길을 묵묵히 걸어간 예수와 예수쟁이들은 그래서 오히려 세상에 감동을 주었다.
로마 사람인 우리가 받지도 못하고 행치도 못할 풍속을 전한다(16:21)” 비난을 들으며 생명의 위협을 받을 만한 안티 상황에 있었지만, 그들의 구별된 삶의 태도와 들개와 굶주린 사자들의 포효 앞에서도 찬송을 드리던 아름다움은 안티 기독교를 외치던 사람들의 마음속에 오히려 감동과 흠모의 마음을 낳게 했던 것이다. 이것은 사변적 변증이 아닌 실천적 변증의 힘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일어나는 안티 기독교 현상을 과연 그때와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3. 교회의 악기능과 안티 기독교


이 시대의 교회에서 우리는 순기능도 아니고 역기능도 아닌 악기능이라고 하는 모습을 발견한다. 오늘날 현대 교회가 부딪히는 안티 기독교 현상은 분명히 역기능의 결과가 아니라 교회의 악기능의 결과이다. 초대교회와 달리, 권력화된 종교와 강력한 논리체계를 가진 죄악된 기득권 세력의 모습은 이제 안티기독교 세력이 아니라 오히려 타락한 이 시대의 교회에서 발견한다. 교회는 기득권화 된 죄악된 세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안티기독교는 오히려 의로운 해방군의 모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초대교회에서 교회의 역기능으로 인한 안티기독교의 발생은 교회의 면류관이며, 우리가 진리대로 살고 있음이 증명되는 상징이었다. 하지만, 순기능도
아니고 역기능도 아닌 "악기능"으로 인한 이 시대의 안티 기독교의 발생앞에 우리는 회개가 필요함을 발견한다. 그래서 그들은 예수쟁이들은 지구를 떠나 천국이나 가라 외쳐대고 있는 것이다. 땅에 소망은 우리가 두고 살테니 땅에 소망을 두고 있는 너희들은 빨리 땅으로 "꺼져"하며 외쳐대고 있는 것이다.

 

4. 뱀처럼 사악하고 비둘기처럼 멍청한 그리스도인


예수님은
세상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삶을비둘기처럼 순결하고 뱀처럼 지혜로운 것을 말씀하셨다. 그러나 오늘 우리의 삶의 태도는 뱀처럼 사악하고 비둘기처럼 멍청한 그리스도인의 삶의 태도이다. 초대 교회에서 가장 위대한 변증가는 사도들이나 교부들이 아니라 무명의 그리스도인들의 구별된 삶이었다. 그리스도인들의 실천적 변증은 로마를 바꾸는 변혁의 힘이었다. 기독인들이 로마의 군대와 문화계 법조계와 정치권 혹은 사회봉사에 뛰어들어서 헌신함으로 로마인들이 감동받아 기독교로의 개종이 일어난 것이라고 없다.


로마의
변화는 탁월한 기독 철학가의 변증으로 모든 로마의 철학을 굴복시킴으로 인해 지적 혁명이 일어난 것도 아니다. 로마를 변화시킨 힘은 삶의 실천적 변증, 십자가의 삶에 동참하는신비 표현할 수밖에 없는 실천적 삶의 태도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오늘날 교회는신앙은 있지만, 윤리가 없는신앙의 시대를 보이고 있다. 순결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수구적인 몰상식에 빠지고 딴에는 똑똑하다는 기독인들은 사악하다고 한다면, 이런 교회 현실은 나도안티...”하고 싶다.

 

5. 고뇌와 함께 안티를 만나야


필자의
마음이 위와 같을진대 안티운동을 어떻게 보아야 할지 많은 고민이 된다. 하지만, 우리는 안티운동을 심각한 고뇌와 함께 생각해야 한다. 많은 기독인들이 안티 사이트를 쉽게 여긴다. “논리와 억지 감정적인 쌍욕이 난무한다. 일고의 가치가 없다.” 쉽게 평한다. 그리고 오히려 그들을 쉽게 훈계하려고 든다. 하지만, 과연 그럴만한 성질의 것인가?


낙서와 루머와 비논리적인 감정 표현은 회사와 정권의 존망을 결정할 있다. 우리는 이들의 도전에 심각한 고뇌를 해야한다. 감정적인 욕설과 지저분한 조소와 희롱 속에 담긴 그들의 언어를 들어야 한다. 때로 오해가 있고 미시적인 면이 있고 비논리적인 감정풀이라 하더라도 논리의 비평을 가슴 시리게 들어야 한다. 데카메론 신학서적도 아니고 개혁 교과서도 아닌 걸쭉한 이야기 모음집이지만, 칼빈의기독교 강요만한 영향력이 있었다고 말한다면 지나치다 있을까?


기독교
권위와 기득권을 옹호하기 위한 논리의 만리장성 쌓기를 멈춰야 한다. 걸쭉한 비평 사이에 그들의 눈에 분노와 실망이 가득한 것을 보아야 한다. 서릿발같은 눈으로 교회를 향해 두눈을 부릅뜨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수님은 바리새인들의 신학적인 문제를 평가하지 않았다. “회칠한 무덤 같고 독사의 자식들"이라는 독설을 쏟았다. 어떻게 보면 지극히 주관적이고, 비논리적이고 피상적인 비판이라고 있다. 그러나 욕설 속에 담긴 "복음"의 의미를 들어야 하는 것처럼, 이 시대의 안티 기독교의 비판적 언어속에 백성들의 마음을 들어야 한다.
 

6. 생각조각을 묶으며


그들을
향한 논리를 운운하고 오해라느니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언젠가 필자가 많은 논쟁끝에 모두를 설득하고 이긴 끝에 들은 말이 있다. “ 맞고 논리적으로 옳다. 좋다. 해봐라. 나는 못하겠다.”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리고 날밤을 고민으로 세운 기억이 난다. 소위 잘하는 예수쟁이들에게 질린 사람들에게역시 말은 잘하는구나!” 하는 확신을 심어주기 위해 애쓰는 우리의 잔치가 얼마나 가증스럽게 여겨질지 생각해야 한다. 지금은 자성이 필요한 때다. 그리고 우리는 비난받고 욕먹을 자격과 의무가 충분히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