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7

우연(偶然) 속에 필연(必然)을 보며

필연(必然)은 "사물의 결과가 반드시 그렇게 될 수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반대로 우연(偶然)은 "아무런 인과 관계가 없이 뜻하지 않게 일어나다"는 뜻입니다. 우연을 필연으로 과하게 만드는 일은 고대 소설의 한 특징이기도 합니다. 아시다시피 고대소설은 권선징악적 주제로, 결말은. 해피엔딩이면서, 사건 전개는 항상 우연성에 기초합니다. 우연에 기초한 부자연스러움과 전개의 도약은 몰입도를 떨어뜨리고 우리를 불편하게 합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필연이 사람의 우연으로 나타날 때 고대소설처럼 여겨지는 어색함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연이 꼭 고대소설의 특징만은 아닙니다. 하나님의 필연적 섭리를 발견하는 복선이기도 합니다. 언뜻 보면, 룻기는 하나님이 하신 일로 묘사된 것이 없는 듯 보입니다. 모두 우연(偶然)입니다...

칼럼 2023.07.10

순례(巡禮)씨로 사는 삶

견디고 살아내는 사람들은 강한 사람이라서가 아니라 착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유은실님의 소설 "순례주택"의 주인공 순례씨가 나옵니다. 용인신문 백현주 기자는, 순례씨를 이렇게 소개합니다. 건물주 순례 씨는 “관광객은 요구하고 순례자는 감사한다”(99쪽)는 말을 가장 좋아합니다. 순례자처럼 살겠다는 생각에 이름을 순례(巡禮)로 개명하고 이를 몸소 실천하며 사는 순례 씨입니다. 힘들게 돈을 벌어 건물주가 되었지만, 그가 마련한 주택은 세입자들에게 몸의 보금자리뿐 아니라 마음의 보금자리가 되어주는 것을 봅니다. 세입자들의 마음을 헤아리며 소소한 일상은 날카롭지만 따뜻하게 담는 건물주 순례씨의 이야기는 참 아름답습니다. 삶에서 닥치는 어려움을 '실패'보다는 '경험'으로 여길 수 있는 순례씨입니다. 그래서 부와 명..

칼럼 2023.06.25

최순실 게이트를 통해 본 한국교회 민낯

최태민의 길에 선 한국교회의 민 낯 송병주 목사 목사를 사칭한 선무당만 문제일까? 개신교 목회자와 교인들이 “최태민은 목사가 아니다”고 말한다. 지금 상황으로 볼 때 전직 무당이고 신학교육도 제대로 받지 않았다. 하지만, 그런 사람에게 목사 안수를 주고 목사로 받아준 어처구니 없는 교단과 목사들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면 최태민만 문제일까? 아니면 돈을 받고 목사 안수를 준 교계 지도자들이 더 문제일까? 우리가 더 가슴아프게 돌아봐야 할 문제는 후자라고 생각한다. 최태민이 왜 목사를 사칭하고 기독교의 간판을 사용하려고 했는지 생각해 봐야 할 때인 것 같다. 필자를 슬프게 하는 그 이유는 선무당이 목사를 사칭하고 교회를 벤치 마킹하는 것이 돈과 권력을 갖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

공감과유감 2016.11.10

SNS (Social Network Service)시대와 어정쩡한 교회

세상은 트위터로 "소통"하고 교회는 혼자서 "호통"치고... 송병주 (선한청지기교회) Facebook, Twitter...SNS... 새로운 용어들이 등장한 시대를 살고 있다. 목회자로서 이런 표현들과 참 거리감을 느끼지만, 멀리 할 수 없는 깊은 고민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목사로서 SNS에 대해 느끼고 생각하는 것들을 한번 정리할 필요성을 느껴서 "비전문가의 한계를 전제"하고 생각을 나누어본다. 사각형의 권력, 매스 미디어 과거의 Mass Media는 말 그대로 소수의 발신자가 다수의 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구조였다. 사람눈에 보이는 것이사각형 세상인지 아직도 필자는 잘 모르겠지만, 그렇게 전달되는 매스 미디어는 사각형 안에 정형화된 세상을보여주었다. 결국 사각형 밖의 이야기 중요하지 않았고, ..

공감과유감 2010.08.24

멈추는 것이 동사가 되는 삶

송병주 산을 정복하는 것을 사랑하는 사람은 오직 정상만 보일뿐... 정상을 향해 가는 과정의 모든 것은 도구가 된다. 정상을 향한 발걸음에 유익한지, 걸림돌인지... 그 관점에서 이해한다. 하지만, 산을 사랑하는 사람은 깊은 계곡에 흐르는 물도 길가에 핀 이름없는 꽃한송이나 풀 한포기조차 목적이고 의미이며 정겹고 사랑스럽다. 정복을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정상이 전부이지만 산을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정상도 산의 일부분이기에 사랑한다. 정복을 원하는 사람에게는 "오른다"는 동사가 중요하다. 하지만 산을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멈춘다"는 단어조차 동사가 된다. 산을 사랑하는 것처럼, 그렇게 교회를 섬기고 싶다.

칼럼 2009.10.29

담임목사 2주일 앞둔 양치는 선비의 얕은물의 종이배처럼 하고 싶은 사역

송병주 얕은 물 종이배 글을 시작하며... 한 마디로 뭐랄까... 이찬수 목사님 말처럼 "애틋함"이 있는 목회라고 할까... 잘하기 보다는 바르게 하고, "형식 갖추기" 보다는 "마음 채우기" 사역이라고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내려놓음의 이용규 선교사님 묵상처럼, 굽이 굽이 돌아가며 강이 천천히 흐를때 더 들판이 푸르고 많은 생명이 살 것이라 생각해본다. 빠르고 강한 물살로 곧 바로 빨리 가기보다 천천히 굽이 굽이 흘러서 내 가는 길은 더디더라도 더 많은 생명이 푸르게 자란다면 그것으로 만족할 수 있으면 참 좋겠다. 큰 강을 이루지 못해도, 어린 아이들이 빠질 걱정없이 종이배 띄우고 놀 수 있는 얕은 물이라도 좋을 것 같다. 큰 바다같은 물줄기에 큰 유람선을 띄우지 못해도, 그 아이들이 ..